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우매한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字)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할 뿐이다.
The language of Korea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nd the characters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many of the ignorant people, even if they have something they wish to say, ultimately cannot express their thoughts well. I feel pity for this, and therefore I have created 28 new characters, so that people may easily learn and use them every day.
훈민정음 예의
ㄱ牙音, 如君字初發聲, 竝書如蚪字初發聲。
ㄱ은 아음(牙音)이니 군(君)자의 첫 발성(發聲)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규(虯)자의 첫 발성(發聲)과 같고,
The character ㄱ is a dental sound (牙音), and its initial pronunci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haracter 군 (君). When written side by side horizontally, its initial pronunci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haracter 규 (虯).
ㅋ牙音, 如快字初發聲。
ㅋ은 아음(牙音)이니 쾌(快)자의 첫 발성과 같고,
The character ㅋ is a dental sound (牙音), and its initial pronunci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haracter 쾌 (快).
ㆁ牙音, 如業字初發聲。 ㆁ은 아음(牙音)이니 업(業)자의 첫 발성과 같고,
ㆁ은 아음(牙音)이니 업(業)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ㄷ舌音, 如斗字初發聲, 竝書如覃字初發聲。 ㄷ은 설음(舌音)이니 두(斗)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담(覃)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ㄷ은 설음(舌音)이니 두(斗)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담(覃)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ㅌ舌音, 〔如〕 呑字初發聲。 ㅌ은 설음(舌音)이니 탄(呑)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ㅌ은 설음(舌音)이니 탄(呑)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ㄴ舌音, 如那字初發聲。 ㄴ은 설음(舌音)이니 나(那)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ㄴ은 설음(舌音)이니 나(那)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ㅂ唇音, 如彆字初發聲, 竝書如步字初發聲。 ㅂ은 순음(脣音)이니 별(彆)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보(步)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ㅂ은 순음(脣音)이니 별(彆)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보(步)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ㅍ唇音, 如漂字初發聲。 ㅍ은 순음(脣音)이니 표(漂)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ㅍ은 순음(脣音)이니 표(漂)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ㅁ唇音, 如彌字初發聲。 ㅁ은 순음(脣音)이니 미(彌)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ㅁ은 순음(脣音)이니 미(彌)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ㅈ齒音, 如卽字初發聲, 竝書如慈字初發聲。 ㅈ은 치음(齒音)이니 즉(卽)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자(慈)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ㅈ은 치음(齒音)이니 즉(卽)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자(慈)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ㅊ齒音, 如侵字初發聲。 ㅊ은 치음(齒音)이니 침(侵)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ㅊ은 치음(齒音)이니 침(侵)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ㅅ齒音, 如戍字初發聲, 竝書如邪字初發聲。 ㅅ은 치음(齒音)이니 수(戍)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사(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ㅅ은 치음(齒音)이니 수(戍)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사(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ㆆ喉音, 如挹字初發聲。 ㆆ은 후음(喉音)이니 읍(挹)자의 첫 발성과 같고,
ㆆ은 후음(喉音)이니 읍(挹)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ㅎ喉音, 如虛字初發聲, 竝書如洪字初發聲。 ㅎ은 후음(喉音)이니 허(虛)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홍(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ㅎ은 후음(喉音)이니 허(虛)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홍(洪)자의 첫 발성과 같고,